▲ 건설·부동산부 송호길 기자
[일간투데이 송호길 기자] 뇌공학자와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 기업가가 국가 스마트시티를 이끌게 됐다. 창의적인 인재의 상상력을 동원해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겠다는 정부의 구상이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23일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를 이끌 총괄책임자(MP)로 세종에는 정재승 카이스트(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부산에는 천재원 영국 엑센트리(XnTree) 대표를 각각 추천했다.

4차산업혁명의 신기술 융·복합체인 스마트시티는 전 세계적인 화두다. 정부는 세계적인 수준의 스마트시티로 조성하기 위해 백지상태 부지에 기존의 도시개발과는 다른 새로운 도전과 혁신을 담아낸다는 각오다. 이 대목에서 과거 유시티(U-City)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야할 필요가 있다. 지자체는 성공 사례를 만들기 위해 대형 전시관을 구축하는 등 '전시적 행정'에만 공을 들였다는 지적을 받는다. 결국 유시티는 실패한 정책으로 남았다.

무엇보다 가장 큰 실패한 원인은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콘텐츠가 부족했다는 점이다. 수억원을 들여 전시관을 구축했음에도 정작 시민들에게는 관심 밖의 일이었다. 즉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를 발굴하고 관련 재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도시는 시민을 위해 존재한다. 이제 시민에게 공급하는 도시가 아닌 함께 만들어가는 도시로 바뀌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데이터 개방을 위한 규제혁신이 필수다. 교통·방범·방재 등의 데이터를 시민들에게 공유해 이들이 직접적인 체감을 할 수 있게 해야 한다. 현재 개인정보보호법으로 인해 '시민체감형' 스마트시티 조성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시민에게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민참여를 높이는 것은 물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피드백으로 더 나은 스마트시티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유시티의 경험을 거울삼아 세계적인 수준의 스마트시티를 조성하기 위한 고민을 해야 할 때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5세대 이동통신(5G) 등 첨단기술 홍보에 급급하기보다는 시민을 위한 콘텐츠 제작이 우선이다. 정부 주도에서 시민과 민간이 함께 주도하는 스마트시티를 세우는 것이 유시티의 실패를 답습하지 않는 방법이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