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취재팀 정우교 기자
[일간투데이 정우교 기자] 정부가 연말 발표할 예정인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은 성공할 수 있을까.

수소에너지 보급이 다른 에너지보다 늦어진 이유는 고가의 설비(연료전지)가 필요하고 가연성 물질이어서 사회적 수용성이 낮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돌이켜봐도 수소에너지에는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쉽게 접할 수 없었다.

하지만 최근 수소를 향한 국내 분위기는 좋다. 수소 산업 및 안전 등의 법안은 국회에서 발의됐고 정부는 '수소'에 대한 종합대책을 준비 중이다. 또한 기업은 수소차 보급에 앞장서기 시작했다.

수소에너지 관련법을 취재하기 위해 통화한 국회의원실 관계자들은 저마다 발의된 법안이 무난히 통과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었다. 막연히 상상만하는 것이 아니라 '수소'에 대한 정부의 의지와 계획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정부의 의지는 연말 발표 예정인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으로 대표된다. 산업부 관계자에 따르면 현재 로드맵은 주요사안들을 정리하고 있는 상황이며 연말까지 완성될 것이라고 한다. 또 완성 이후 공식적인 발표가 이뤄진다고 하니 미래 에너지 활용에 대한 국가적인 계획이 조만간 선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와 같은 친환경 에너지로 환경오염 대안을 마련하는 정부와 국회의 이같은 움직임은 반갑다. 하지만 걱정스러운 것은 인프라다. 인프라 구축과 관련된 세부 내용이 로드맵을 촘촘히 채워주길 바란다.

이 과정에서 현대자동차의 역할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서울 시내 수소전기버스가 운행하고 있고 내년부터 서울을 비롯한 울산, 광주, 창원 등 전국 6곳의 도시에 공급할 계획과 50만대 수소차량 생산만을 발표하기에 현대차의 책임은 크다. 장미빛 계획 발표만이 능사가 아니다.

10년 후 수소차 50만대가 도로 위를 달리더라도 충전소의 수가 받쳐주지 않는다면 심각한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다. 충전소가 없어서 추가적인 현대차는 차량 생산계획과 함께 인프라에 대한 다각적인 고민을 해야한다.

수소에너지에 대한 정부의 계획은 반가운 결정이다. 그러나 현대차로 대표되는 수소차량 사업자들의 '인프라 고민'도 함께 병행돼야 정부의 '로드맵'은 효용가치가 장기지속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