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가 28일 낮 청와대에서 오찬 회동을 가졌다. 공식적으로 오는 30일 제21대 국회 개원을 코앞에 두고 문 대통령과 여야 신임 원내대표가 만나는 자리였다.

문 대통령이 여야 원내대표를 청와대로 초청한 것은 지난 2018년 11월 5일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 첫 회의 이후 1년 6개월 만이다. 국정 상설협의체라는 약속치고는 길고 긴 자리였다.

지난 1년 6개월은 누구도 맞이해본 적이 없는 엄중한 시절이었다. 우리 사회의 대변혁을 요구하는 민심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의 세계적 대유행(펜데믹)이 휘몰아치는 가운데 치러진 21대 국회의원 선거 그리고 여전히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코로나 19는 지속하고 있다.

이 같은 현안을 두고 대통령과 여야가 1년 6개월이 넘도록 소원했다는 점은 아쉬운 대목이다. 여야 사이와 대통령과 여야도 하고 싶은 말이 많았을 것이다. 정치는 세 치 혀로 상대를 설득하고 이해시키는 것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의 업이다. 그런 점에서 대통령도 여야 정치인도 같은 배를 탄 사람들이다.

산적한 현안을 타협의 산물로 풀어내는 게 정치의 본질일 수 있다. 타협은 서로 만나서 풀어야 설득력이 있다. 아무리 비대면의 시대라지만 국정 상설협의체를 구성해놓고도 뒤틀린다고 만남을 주저해서는 안 된다.

21대 국회는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어떤 사안도 법을 제정하고 폐기할 수 있는 슈퍼여당 국회나 다름없다. 이 때문에 집권 여당이 잘못된 길을 택하더라도 막을 방법이 야당으로서는 없는 상황이다. 불과 이틀 후면 그렇다.

이날 대통령과 여야 신임 원내대표의 만남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대통령은 슈퍼 여당도 열세인 야당 편도 아니어야 한다. 국민의 대통령이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30일 이후부터 대통령의 어깨는 무거울 수밖에 없다. 여야를 함께 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당의 독주에 브레이크를 걸 수 있어야 하고 야당의 하소연에 귀를 더 기울여야 한다. 대통령이 여야에 호소하는 자리를 더 많이 만들어서 국민이 바라는 세상을 만들어 가자고 해야 한다.

코로나 19가 누구도 접해보지 못한 세상으로 가게 하는 만큼 대통령과 여야도 그 세상을 어떻게 열 것인지를 허심탄회한 자리였기를 바란다.

마음을 비운 채 너그럽고 사심을 품지 않는다는 허심탄회라는 말처럼 대통령과 여야가 오직 국민 편에서 대화를 자주 하면 할수록 매듭은 풀 수 있다. 코로나 19가 전쟁보다 더 험한 국난으로 내몰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수습하고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해야 하는 국정의 목표 역시 국태민안이다. 나라가 태평하고 국민이 안심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는 그런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지금의 위기는 여도 야도 함께 돌파해야 할 몫이다. 누구 책임도 아닌 우리가 모두 떠안고 있는 위기이자 극복해야 할 의무이기도 하다. 그 중심에 대통령과 여야가 있다.

주문하고 싶다. 위기 때는 서로 자주 만나 위쪽으로 하고 격려하면서 머리를 맞대고 해법을 찾는 자리를 가지라고 주문하고 싶다.

냉전 시대 중국의 죽의 장막을 열어 미·중 동서가 새로운 시대를 연 것도 만남에서 시작됐다. 그런 미·중이 이제는 세계를 위한 공동의 타협은 온데간데없이 으르릉거리는 모습은 만남이 얼마나 소중하다는 것을 일깨우고 있다. 하물며 국민을 위한 자리는 많을수록 좋다.

국정 상설합의체가 허깨비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계기가 되기 바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