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투자 외 주요 지표 모두 ↑…선행지수 13개월 연속 ↑
홍남기 부총리, "7월 소비·생산 심리 지수 모두 하락…코로나 4차 유행, 하반기 경제 운용 리스크"

▲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30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1년 6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간투데이 이욱신 기자] 지난달 산업생산이 전월보다 큰 폭 상승했다.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늘고 소비도 반등한 영향이다. 다만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향후 불확실성이 확대돼 하반기 경제에 리스크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30일 통계청의 6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 지수는 112.9(2015년=100)로 전월보다 1.6% 상승,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산업생산은 2월(2.0%), 3월(0.9%)에 두 달 연속 증가한 뒤 4월(-1.3%) 감소했다가 5월에는 보합(0.0%)을 나타냈다.

생산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에서 모두 늘었다. 제조업 생산은 전월보다 2.3% 늘어 2월(4.7%) 이후 석 달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제조업 생산이 호조를 보이면서 광공업 생산도 2.2% 증가했다. 광공업은 3월(-0.7%), 4월(-1.9%), 5월 (-1.0%) 등 3개월 연속 이어진 감소세를 끊었다.

업종별로 보면 D램과 시스템반도체 등 생산이 늘어난 영향으로 반도체 생산이 8.6% 증가했고 자동차(6.4%), 전기장비(4.9%) 등도 호조를 보였다. 통신·방송장비(-8.9%), 기타 운송장비(-5.3%) 등은 줄었다.

서비스업 생산은 1.6% 늘어 5월(-0.4%) 감소 이후 한 달 만에 반등했다. 주식 등 금융상품 거래가 늘며 금융보험 생산이 3.2% 늘었고 의복과 신발·가방 등의 판매가 늘어 도소매 생산도 1.6% 증가했다. 숙박·음식점 생산은 2.7% 늘었다. 미용·목욕·예식 등 개인서비스가 주를 이루는 협회·수리·개인은 2.2% 증가했다. 건설업(2.0%)과 공공행정(0.6%)도 증가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4% 증가했다. 5월(-1.8%)에는 감소였으나 지난달 증가 전환한 것이다. 의복 등 준내구재는 전월 큰 폭으로 감소한 기저효과가 작용한 가운데 하절기 의류 판매가 늘어나며 5.8% 증가했다. 코로나 백신 접종 증가로 의약품 등 비내구재 판매도 1.0% 늘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 판매(-1.0%)는 줄었다.

업태별로 보면 전년 동월 대비 백화점(13.6%), 면세점(19.2%), 무점포소매(11.2%), 편의점(0.6%) 등이 증가했다. 승용차·연료소매점(-3.6%), 슈퍼마켓·잡화점(-8.6%), 대형마트(-1.7%)는 감소했다.

산업생산을 구성하는 주요 지표 중에선 설비투자만 0.2% 감소했다. 전월(-2.9%)에 이어 2개월 연속 마이너스다. 설비투자가 두 달 연속 감소한 것은 2020년 7~8월 이후 11개월 만에 처음이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오른 101.4였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상승해 104.4로 집계됐다.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3개월 연속 상승해 1998년 7월부터 1999년 8월 이후 21년 10개월 만에 최장기간 연속 상승을 기록했다.

6월 산업활동동향에는 이번달 초부터 본격화한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이 반영되지 않았다.

어운선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6월에는 주요 지표 대부분이 호조를 보이면서 경기 회복세가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다만 최근 코로나19 4차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다시 강화되면서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이다. 지난해 초 1차 확산 이후 모든 경제주체가 적응하려 노력해온 시간과 경함이 있기에 부정적 영향이 이전만큼 크지는 않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6월 산업활동동향과 관련,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예상한 성장경로를 이어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심리 지표를 보면 7월 소비자심리지수(CSI)는 103.2로 7.1포인트 하락했고 7월 제조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97로 1포인트 하락했는데 수출·내수 기업 모두 코로나 확산의 경기 영향 우려가 반영된 결과다. 코로나19 4차 확산이 하반기 경제운용에 큰 리스크 요인이 아닐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부는 철저한 방역 노력 하에 경제 영향을 최소화하고 피해 신속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는 등 3분기 전방위적 정책역량을 총동원해 빠르고 강한 경제 회복세 지속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