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예산 647억원 투입에도 꾸준히 발생

▲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천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강북갑) 사진=의원실
[일간투데이 신형수 기자] 지난 6년간 싱크홀 발생건수가 1,431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천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서울강북갑)에 따르면, 같은 기간 국토부가 싱크홀 예방대책으로 투입한 예산은 647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싱크홀 발생건수는 줄어들지 않았다. 2016년 255건에서 2020년 284건으로 오히려 늘어났다. 예산투입이 사실상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이다.

국토부가 ‘싱크홀 예방’을 선언한 건 2014년이다. 당시 석촌지하차도 인근에서 연이어 싱크홀이 발생하면서 사회적 불안감이 커지자 ‘싱크홀 예방을 위한 ’지하공간 통합안전관리체계‘ 구축’, ‘싱크홀 예방을 위한 지반침하 예방대책’을 대대적으로 발표했다. 하지만 싱크홀 원인을 직접적으로 해결하는 사업은 부재했다.

싱크홀 발생원인은 ‘상·하수관 손상(노후화)’ 54.6%(782건), ‘공사 후 다짐(되메우기) 불량’ 17.2%(246건), ‘굴착공사 부실’ 4.2%(60건), ‘기타 매설물(전기·통신·난방관로·맨홀 등) 손상’ 3.8%(55건), ‘상·하수관 공사 부실’ 2.3%(33건), ‘기타 매설공사 부실’ 1.6%(23건), ‘기타(지하수 유출, 폐자재·폐관 방치 등)’ 16.2%(232건) 등이다.

이 중 ‘상·하수관 노후화’의 경우 환경부가 2016년부터 정비사업을 벌이고 있고, 2016년 55.7%에서 2020년 48.2%로 차지하는 비중이 줄었다. ‘상·하수관 노후화’ 이외의 원인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해결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하지만 국토부가 싱크홀 예방대책이라며 추진했던 사업을 살펴보면 주로 시스템 구축이나 이미 형성된 지하공동(空洞)을 찾는 데 그치고 있다.

천 의원은 “지금까지 국토부가 추진해온 사업과 규제들이 불필요하다고 할 수는 없으나, 싱크홀 예방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분명 역부족이었다”고 지적하면서, “2016년과 2020년을 비교했을 때 발생 비중이 늘어난 ‘공사 후 다짐 불량’(16.9%→17.6%), 지하수 유출 등 ‘기타’ 원인(12.5%→19.7%)들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예방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일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